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난해 여름 폭우로 산사태가 났던 경북 예천에선 15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었죠. <br> <br>산사태의 상처는 그대로 남아있고, 주민들은 언제 일상을 되찾을 수 있을지 막막합니다. <br><br>김태우 기자가 다시 가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해 7월 퍼붓는 폭우에 쏟아져 내린 산비탈 경북 예천의 5개 마을이 한꺼번에 토사에 깔렸습니다. <br><br>당시 사고로 15명이 숨지고 2명이 실종됐습니다. <br><br>8개월이 지난 지금 상황은 어떨까, 다시 가봤습니다. <br> <br>산사태로 집을 잃은 박종철 씨 가족은 25제곱미터, 여덟 평짜리 조립식 주택에 살고 있습니다. <br><br>원래 살던 집은 흔적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. <br> <br>[박종철 / 경북 예천군] <br>"우리 집이 (무너지면서) 이 집을 덮쳤지. 여기도 우사 창고가 있었는데, 똑같아요. 그게 다 내려오면서 도미노처럼…" <br> <br>마을로 내려온 토사와 돌들은 거의 치웠지만, 산 위엔 아직도 산사태 흔적이 뚜렷합니다. <br> <br>[김태우 / 기자] <br>"산사태가 일어났던 산 중턱입니다. 비탈면은 깎여나간 채 그대로 남아 있고, 곳곳에는 떠밀려온 나무들도 보입니다." <br> <br>산사태 위험을 줄여줄 사방댐은 아직 착공조차 못 했습니다. <br> <br>추위로 땅이 얼어있는데다 산 군데군데 사유지가 섞여 있어 행정 절차에 시간이 걸렸기 때문입니다. <br><br>[예천 백석리 주민] <br>"지금 불안해하고 있어요. 7월 되면 이제 장마가 이제 많이 오는데 앞으로 작년보다도 자꾸 점점 더 온다고 하니까…" <br> <br>마을 인근 농지에 짓겠다던 이주 마을 조성 작업은 아직 첫 삽도 못 떴습니다. <br><br>[예천군청 관계자] <br>"문화재 지표 조사도 해야 되고, 소규모 환경영향평가도 해야 되고, 2025년 초 정도는 돼야 삽을 들이댈 수 있을 것 같거든요." <br> <br>산사태로 쏟아진 1만 3천 톤의 바위와 모래에 매몰됐던 정선 피암터널. <br> <br>터널 주변엔 집채만 한 바위들이 널브러져 있고, 안쪽에도 낙석들이 꽉꽉 들어차 반대편이 보이지 않을 정돕니다. <br><br>마치 어제 산사태가 일어난 것처럼 하나도 치우지 못한 채 8개월이 흘렀습니다. <br><br>마을과 읍내를 잇는 유일한 길, 차로 4분이 걸리던 거리를 20분 넘게 돌아가야 하는 것 역시 8개월째입니다.<br><br>한창 바빠질 농번기를 생각하면 주민들은 속이 탑니다. <br><br>[정선군 주민] <br>"비료, 퇴비, 기타 농자재… 뭐 많이 이제 들여와야지. 바쁠 때는 세 번 가는 때도 있고 그러니까 시간을 도로에서 뭐 한 나절씩…" <br> <br>정선군청은 터널 주변을 우회하는 다리를 짓기로 했지만, 완공까지는 까마득합니다. <br><br>[정선군청 관계자] <br>"올해 상반기에 설계를 완료하고 하반기에 착공 계획을 하고 있는데요, 예상 기간은 한 2년 정도로 보고 있다고…" <br> <br>평화로운 일상이 그립기만 한 주민들, 늦어지는 복구에 한숨만 늘어가고 있습니다. <br> <br>다시 간다 김태우입니다.<br /><br /><br />김태우 기자 burnkim@ichannela.com